진행 중/최근 강좌

 원효학당 후원하기

진행 중/최근 원효학당 강좌

"지금, 여기에서 생각하는 불교의 근본 진리"

2024년11월 6일 - 12월18일

일시: 2024년 11월 6일부터 12월 18일까지 매주 수요일 18:30-21:00
장소: 한국불교연구원 서울 법당

불교의 핵심 가르침

불교의 가르침은 어느 다른 종교나 사상보다 유연하고 포괄적인 체계를 갖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그때문에 오랜 시간에 걸쳐 쓰인 경론도 방대하고, 다양하게 전개된 사상과 신앙은 때로는 난해하고 번쇄하기까지 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방대한 체계의 밑바탕에는 그러한 발전의 기반이 된 핵심적인 가르침이 있습니다. 그 가르침은 누적적으로 전개된 사상사·종교사적 흐름 속에서 다양하게 해석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불자들의 불교 이해와 신행의 중심을 이루고 있습니다. 이번 원효학당에서는 그러한 불교의 핵심적인 사상에 대해 함께 생각해 보는 강좌를 마련했습니다.

새로운 세대의 연구자

이 강좌는 6주에 걸쳐 여섯 분의 강의로 진행됩니다. 주로 새로운 세대의 참신한 중견/신진 연구자들이 강의를 맡습니다. 그렇게 젊지는 않지만 우리 학계에서 비교적 젊은(?) 연구자들입니다. 이분들은 각자 불교 연구자이자 불교를 진리로 따르는 불자의 입장에서 자신의 성찰을 펼치게 될 것입니다.

쉽고 넓게 이해하는 불교

한국불교연구원은 창립시부터 불교기초과정 강좌를 열어 왔습니다. 초발심 불자, 혹은 불교에 관심을 가진 일반인들에게 불교사상을 소개하는 강좌였습니다. 불연 선생 생전에 활발히 열렸던 이 강좌를 통해 수만 명이 불교에 입문했습니다. 불연 선생은 불교가 '도그마의 종교'가 아니라 하며, 불교계에서 통상 쓰는 '교리'라는 말을 피하고 '기초과정'이라는 말을 썼습니다. 금번 원효학당 강좌는 과거의 '기초과정 강좌'의 부활이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불교 입문에 필요한 핵심적 개념들에 대해 불교사전의 해설 같은 강의, 또 구태의연한 방식과 내용을 답습한 강의가 아니라 새로운 시대, 넓은 세계와 적극적으로 소통하는 방식으로 강의가 이루어질 것입니다.

 

강좌는 오프라인(30명 선착순)과 온라인(유튜브 라이브)로 동시에 진행됩니다. 참여를 원하시는 분은 한국불교연구원으로 연락하시거나 홈페이지의 안내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문의: 전화 (02)762-5624, 이메일 kibs@kibs.or.kr

강좌신청 하기

11/6    강형철(경희대), 무아(無我): 인류는 어떻게 '나'를 만들었는가   Link

11/13  최지연(한국외국어대), 업(業): 마음이 짓는가, 몸이 짓는가 Link

*11월 20일로 예정되었던 강의가 기기 이상으로 진행되지못했습니다.  이에 따라 이후 강의 일정을 아래와 같이 조정합니다.

11/27  김성철(금강대), 공(空): 무엇이 있고 무엇이 없는가  Link

12/4    최성호(경남대), 연기(緣起): 우리는 어떻게 모두 연결되어 있는가

12/11  이상민(고려대), 유심(唯心): 원효는 정말 해골물을 마셨는가

12/18  안성두(전 원장, 전 서울대), 보살(菩薩): 보살 관념은 지금도 유효한가

     

    2024년 상반기

    "인도 문명과 불교: 무엇을 따르고 무엇이 다른가?" 

    2024년6월 5일 - 7월 10일

     

    불자들은 불교를 최상의 가르침이자 진리로 여깁니다. 그러나 붓다의 가르침처럼 불교도 인도라는 지역에서 인연 따라 생겨난 것이라는 점을 부정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불교는 인도의 지역적 풍토, 그곳에서 살아 온 사람들의 집단적 성격과 관습, 역사적 경험 및 문화적 특성과 밀접한 관계를 맺으며 등장했고 변화해 갔습니다. 

    2024년 상반기 원효학당의 인도강좌에서는 인도 문명과의 관계에서 불교를 조명하는 프로그램을 마련했습니다. 이 강좌에서는 인도 문명에서 불교가 어떤 것을 필연적으로 물려받고, 그 속에서 어떤 혁신과 독자적 성취를 이루었으며, 혹 인도 문명과의 관계에서 피할 수 없이 지니게 된 한계는 없었는지 하는 문제를 조명해 보았습니다.

    6월 5일부터 7월 10일까지 6주에 걸쳐 대면과 온라인으로 동시에 진행된 이 강좌는 인도 문명과 불교의 관계를 진리, 마음, 세계, 신, 근원, 출가, 계율, 고행, 희생, 성(性), 여신, 상(像) 등 12개의 키워드로 살펴보는 강의들고 구성되었습니다.

    이번 원효학당 강좌의 모든 강의는 유튜브에 올려져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실시간으로 못 보신 분들은 시청하시고 더불어 ‘좋아요’로 응원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아래는 각 강좌의 링크입니다. 클릭하면 바로 보실 수 있습니다.
     
    6월5일
    제1강: 이주형(본원 원장/서울대) - 상(像): 의미와 기능 Link
    제2강: 류현정(서울대) - 희생: 힌두교와 불교를 넘나든 보살 이야기, <나가난다>  Link

    6월12일
    제3강: 최지연(한국외대) - 고행: 고행을 보는 자이나와 불교의 시선 Link
    제4강: 방정란(경상국립대) - 성(性): 금기를 금기하다 Link

    6월19일
    제5강: 강형철(경희대) - 마음: 불교와 힌두교가 그리는 마음의 지도 Link
    제6강: 김성철(금강대) - 세계: 수미산을 세우다 Link

    6월26일
    제7강: 이자랑(동국대) - 계율: 속박인가 자유인가 Link
    제8강: 심재관(상지대) - 신(神): 장거리 여행을 했던 낯선 신들 Link

    7월3일
    제9강: 법장스님(해인사) - 출가: 출가주의란 무엇인가? Link
    제10강: 함형석(전남대) - 근원: 뱀과 몽구스의 싸움 Link

    7월10일
    제11강: 임승택(경북대) - 진리: 붓다의 독창적 진리관  Link
    제12강: 조승미(전남대) - 여신: 불교의 여신이 된 하리티 Link

    7월 13일
    에필로그: 이주형(원장) - 강좌를 마무리하며: 강의의 요지와 맥락 해설 Link

     

    한국불교연구원과 불연학술기금을 후원해 주시기 바랍니다

    사단법인 한국불교연구원의 운영과 학술/신행 활동은 여러분의 후원으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후원은 연구원이 우리 불교계와 학계에 기여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여러분의 정성어린 후원을 기다립니다.